Edit Template
Edit Template

5년동안
이렇게 공부합니다

실상사작은학교에서의 5년은 변화무쌍한 청소년기를 거쳐 진지하게 자기 삶을 모색하는 청년기가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5년의 시간은 나와 세상을 알고, 삶의 기술(정서적 안정, 토대지식, 손기술)을 배우고, 의미있는 자기의 길을 탐구하는 여정입니다.

중고등 통합 과정이며 1~2년차는 몸과 마음을 깨우고 건강한 삶의 태도를 형성하며 3년차는 사회와 공동체를 보는 눈, 전환과 도약의 시기이며, 4~5년차에는 삶의 결에 맞는 분야를 적극적으로 탐구하는 시기입니다.

작은학교는
5년동안 이렇게 배웁니다.

작은학교에서의 5년은 변화무쌍한 청소년기를 거쳐 진지하게 자기 삶을 모색하는 청년기가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5년의 시간은 나와 세상을 알고, 삶의 기술(정서적 안정, 토대지식, 손기술)을 배우고, 의미있는 자기의 길을 탐구하는 여정입니다.

5년 교육과정 구분과 중심주제

1st and 2nd grades are for awakening the body and mind and forming a healthy attitude towards life, 3rd grade is for developing eyes to see the social community, a period of transition and leap forward, and 4th and 5th grades are for actively exploring fields that fit the purpose of life.

생명과정

생태·평화적 감수성을 일깨우고 온전한 사랑과 치유 과정 경험

유기체인 자기 몸과 마음에 대한 이해와 탐구, 인간과 자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타인과 공동체에서 더불어 살아가는 중요성 자각

평화과정

정의에 대한 이해

생명이 평화로울 수 있는
관계성, 사회제도, 문화 이해, 창조적 대안 모색 과정

스터디 서클 운영

우정과정

생명으로 깨어나고
평화로 살아본 학습과 경험을 토대로 자기 역량을 마음껏 꽃피우기

세상과 기꺼이 만나면서 자기가 원하는 것을 펼쳐가기

[생명과정] 1학년 배움

1. 배움의 줄기
– 몸과 마음 깨우기, 공동체와 관계맺기

2. 배움의 방향
– 새로운 사람과 문화에 천천히 적응하며 관계 맺는다.
– 몸과 마음의 감각을 깨우고 발산한다.
– 학교공동체 뿐만 아니라 인드라망 공동체와 지리산 산내 마을공동체를 만나고 경험한다.

3. 공부 내용 및 방법
– 필수교과인 평화서클, 비폭력대화, 글쓰기 수업을 통해 지금 나의 상태를 표현하고, 우리로 연결되는 감각을 익힌다.
– 6월 주제공부 기간에 실상사에서 머물며 공동체와 마을을 만나고 질문한다.
– 지리산 종주 프로젝트를 통해 지리산을 공부하고 몸과 마음으로 경험한다.
– 미술, 명상, 모듬북 집중주간을 통해 내면의 에너지를 인식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배운다.

▶ 길잡이(담임 선생님) 상담
학생 : 한 학기 2회(학기 초와 학기 말) 1대 1로 만나 대화한다.
양육자 : 가정별로 한 학기 1회 이상 길잡이와 다른 배움지기가 함께 대화한다.

※ 1학년 한해 흐름

[생명과정] 2학년 배움

1. 배움의 줄기
-자기를 이해하기 위해 ‘자기’의 정체성을 정리하고 함께 읽은 책을 통해 나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기꺼이 더불어 살 수 있는 주인공이 되고자 합니다.

2. 배움의 방향
– ‘자기 이해’라는 말의 ‘자기’는 무엇인가

– ‘나’ 이외의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나’는 무엇인가

– 기꺼이 더불어 살기 위해 내 마음 알아가기

3. 공부 내용
– ‘나’라는 말의 철학적 의미를 알아보기

– 책을 통한 ‘나’와 주변 사람들의 관계 이해하기

– 수업을 통해 나를 바라보는 법 배우기

4. 공부 방법
– ‘한국의 정체성’이라는 책을 함께 읽고 ‘나’라는 정체는 무엇인지 이야기해봅니다.

– ‘미움받을 용기’를 통해 나와 주변 사람들의 마음의 경계에 대해 이야기해봅니다.

– 명상, 글쓰기, 연극수업을 통해 스스로 자신을 알아차려 나갑니다.

– 나와 개인 간의 소통 방법은 평화써클, 비폭력대화 수업을 통해서 익히고 생활화 합니다.

5. 주요활동
– 월요일 : 1, 2교시 평화서클

– 목요일 : 1, 2교시 글쓰기 3, 4교시 비폭력대화

– 금요일 : 1, 2교시 연극

– 주제집중공부 : 타 대안학교 교류

– 9월 프로젝트 : 명상/미술 워크숍, 모듬북 자유여행

– 집 가는 주간 이용 이동학습 및 여행

[평화과정] 3학년 배움

1. 배움의 줄기
– 정의에 대한 이해

– 생명이 평화로울 수 있는 관계성, 사회제도, 문화이해

– 창조적 대안모색, 스터디 서클

2. 배움의 방향
– 민주시민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무엇일까?

-나의 생각을 정리하고 다듬어 표현하기

– 인권, 평화 감수성 높여가기

– 긴 호흡으로 몸을 쓰며 집중하고 완결되는 경험

– 주체적으로 배움을 ‘기획-실행-돌아보기’

3. 공부 내용

1) 민주시민 공부 : “질문하기” 소크라테스 서클 – 월요일 3, 4교시

2) 농사 작업장 : “책임감을 가지고 완결 짓기” – 목요일 오전/6월 하지 전후 농번기 일주일

3) 글쓰기 : “내가 쓴 글을 풍성하게 하기” – 화요일 5교시 학년별 시간

4) 세계시민 공부 : “해외이동학습 시사아속 탐방, 베트남 평화기행” – 월요일 7교시/8~9월

4. 공부 방법

1) 소크라테스 서클의 주제 책 읽기를 통해 주체적으로 ‘열린 질문’ 만들어 가기

2) 농사 작업장을 통해 책임감 있게 농사를 만나고 농작물의 시작과 끝을 경험하기

3) 글을 다듬고 풍성하게 하는 과정 속에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길잡이와 소통하기

4) 세계시민 공부 : 계획, 소임(역할)정하기, 공부하고 나누기, 의논하기, 현장에서 살아보기,

일지 쓰기, 마음 나누기, 질문 나누기, 보고서 작성, 발표 등

※ 3학년 한해 흐름

[평화과정] 4학년 배움

1. 배움의 줄기

– 민주시민/세계시민으로 살아가기

– 자신의 배움이 세상과 연결되어 있다

– 나와 학교 밖의 세상, 우리나라 밖의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접하고 공부하기

학제
중심주제
탐구영역/주요교과 활동
· 정의에 대한 이해 · 생명이 평화로울 수 있는 관계성, 사회제도, 문화 이해/ · 창조적 대안 모색/ · 스터디 서클/

1. 배움의 방향과 목표

– 공동체(학교, 지역. 국가, 세계, 지구)의 시민으로 살며, 좋은 질문을 찾아가는 공부

– 사회체계(정치, 경제, 사회, 문화), 근현대사 공부

– 서로 돌봄, 협력의 힘 키우기

– 자신이 만드는 배움 계획/자기 주제 공부

2. 공부 내용

(1) 민주시민공부 (월요일 3, 4 평화 함께)

: 이경재 선생님과 함께 소크라테스 서클 활용하여 민주시민으로 살아갈 수 있는 각자의 나침반과 닻 만들기.

(2) 주제집중공부 (6월 1주, 4, 5 언니네 함께)

: 우리 시대에 일어나는 일과 연결하여, 주제 선정하여 공부
(인권. 노동, 다문화. 국가. 민족. 민주주의. 기후위기. 평화. 분쟁. 전쟁 등)

: 자신이 만드는 배움 계획, 주제 공부 계획과 실행하기

(3) 해외 이동 학습 (3, 4 평화 함께) : 베트남 평화기행과 공동체(시사아속) 탐방

: 3, 4학년이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3, 4학년 2년 과정의 프로젝트를 협력함으로써, 구성원의 변동, 확대를 통해 협력적 배움이 좀 더 일어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길잡이 2명이 진행할 수 있는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올해에는 3학년 길잡이가 함께 할 수 없어 대안 마련)

: 지역선정에서 학교가 기존에 관계맺고 있거나 경험을 가지고 있는 지역과 연결하고, 지속적 교류, 주제 탐구에 좀 더 집중합니다.

: 안전에 대해 학생, 양육자와 함께 이야기하고 준비합니다. (약속, 지역 문화/특성 이해)

: 일정 기간 자유여행을 학생들이 직접 기획하고 진행하면서, 도전-성취를 경험합니다.

: 주 1회 간식시간 후 3, 4학년 수업.(월요일)

1) 시사아속 교류

– 인연 있는 공동체와 지속적 교류. 상호 배움.

– 시사아속 공동체에 대한 이해

– 키워드 # 공동체. 불교 수행. 보시경제, 노동. 자립

2) 베트남 평화기행

– 전쟁

– 아시아사

– 가해와 피해

3) 상의하여 추가적인 기획

4) 프로젝트의 진행

– 주제공부. 소임나누기. 계획 짜기

– 여행영어 익히기, 나라별 언어 공부하기

 

※ 4학년 한해 흐름

(4) 4학년 농사 – 논농사 중심. 해외 탐방 경비 마련

 

4. 공부 방법

1) 주체적 탐구

2) 회복적 서클 대화 

3) 깊이 있는 쓰기와 읽기 토론을 통한 배움

4) 논농사(1000여 평)를 맡아서 경작

5) 외국어 (세계시민 되기 위한 도구와 문화 배우기) 배우기 : 방문하는 나라 언어

5. 학년(3~5학년) 따로 또 같이

– 일상적인 함께 배움과 어울림

– 해외이동학습 함께

– 집중공부주간 함께 계획하고 배우기

– 4, 5학년 시사읽기 필수

6. 기타

1) 학년별 시간

– 배우는 재미, 만들어가는 재미 

– 연결, 협력, 어울림, 이해의 관계 만들기. 체크인 체크아웃

– 공동주제 활동 (공동의 책 읽고 나누기) 

 

2) 상담 

– 학생상담 _ 3월, 학기말

– 양육자상담 _ 학기초, 학기말, 필요시

[우정과정] 5학년 배움

1. 배움의 줄기

>> 5년 배움을 잘 정리하고 새 배움을 준비하는 시기

– 생명으로 깨어나고, 평화로 살아본 학습과 경험을 토대로 자기 역량을 마음껏 꽃 피우기

– 세상과 기꺼이 만나면서 자기가 원하는 것을 펼쳐가기

2. 배움의 방향과 목표

– 자서전을 통해 나의 지난 여정을 뒤돌아보며 내가 배움을 해온 과정을 정리해 봅니다.

– 작은학교에서 배움을 잘 정리해 봅니다(나의 성장일기)

– 나에 미래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그려 봅니다.

– 내가 후배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도 정리해 봅니다.

3. 배움 내용 및 방법

자서전

무문관

주제 집중공부

인턴십

졸업 선배들의 삶을 찾아서선배들은 어떻게 살고 있지?

3-1. 미래(未來) 시민(市民) 공부 (Project)

1) 세상에 대한 이해

변화하는 세계에서, 미래세계에 대한 예측, 내가 살아가게 될 세상에 대한 상상

미래를 만들어가는 현재에 대한 이해

대안마을, 전환마을,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는 곳들을 찾아보고 탐구.

– 2025년 활동제안 : 산내 마을 청년들 활동 관련, 부여 공동체 방문, 큰들 방문 등

 

2) 사람들은 어떻게 살고 있나요?(화요일 방과 후)

사람책

인터뷰 : 작은학교 선배들을 찾아서(개인당 한명 이상 찾아가서 인터뷰를 시도해 봅니다

선배들의 현재를 찾아 정리해 보기

3) 나는 어떤 사람인가? 나는 어떤 일을 하고 싶지?(내가 하고 싶은 일 탐색)

적성 검사, 에니어그램, MBTI, 도형검사 등 활용

 

4) 인턴십 플러스 (8/4 ~ 9/26 , 8)

인턴십을 확장하여 직업탐방, 노동체험, 봉사활동 등 두 달

인턴십은 교육의 과정으로 급여를 받지 않는다. 현장의 상황에 따라 상의.

노동체험의 경우에는 안전에 주의한다. 노동체험을 한다면 돈을 벌기 위해 하는 것이 아니다. 현대 사회가 어떤 노동으로 굴러가고 있는지, 그 노동의 현실은 어떤지 접해 보는 것이다.

학교를 벗어나 청년의 삶을 경험하고, 만나고, 앞으로의 삶의 한 면을 그려보는 것이다.

그 간의 인턴십을 넘어서 졸업 후의 삶, 미래시민의 삶을 상상하고 탐구한다.

활동 전에 노동권, 성교육, 안전을 같이 공부한다.

3-2. 자서전(自敍傳, autobiography)

청소년기에 자서전을 쓴다는 것은 무엇인가, 나의 이해는 진솔한 자기와의 대면, 자기이해를 통한 도약(나아감)’이다. 글쓰기와 발표라는 과정을 거쳐, 자기이해를 언어화하게 된다. 언어화한다는 것은 사회화이고, 이 과정에서 자기의 경계를 확장하고, 공동체와 연결된다. 자서전을 쓰기 위해, 과거로 거슬러 가는 과정에서 무엇을 만나고, 신체·정서적으로 어떤 경험을 하게 될까. 유년과 청소년 시기를 충분히 항해하고, 잘 보고, 정리하고, 상자에 잘 넣어두고 가끔 꺼내어 볼 수 있기를.

: 자서전 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진행.

(1학기 12차시, 2학기 8차시, 121109일 합숙, 발표)

 

3-3. 2025년 제 4작은학교 무문관

 

침묵과 고독 속에서 나를 찾아가는 6일간의 수행

 

작은학교 무문관(無門關)의 취지

: 혼자서도 행복하고, 여럿이도 풍요로운 삶을 위한 자기 만나기.

: 실상사 작은학교는 공동체살이와 체험학습, 어울림과 연결을 통해 배우는 학교입니다. 인드라망 세계관에 바탕해 자기 이해와 타자 이해, 공동체 이해, 동시대의 시대 정신 공유, 인간 중심주의를 넘어서 지구와 연결되는 공부를 합니다. 세상보기와 공동체 살이를 통해 밖의 세계를 공부했다면, ‘작은학교 무문관에 머무는 시간입니다.

: 나의 삶에서 중심은 오롯이 이기도 합니다. 우주적 존재인 와 고요히 머물며, 연결되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고독한 시간을 통해, 신경 쓸 것들을 내려놓고, 단순한 일상 속에서 뿌연 번뇌를 내려놓고, 홀로 머물러 봅니다. 각자마다 자신만의 배움이 일어나길 기대합니다.

 

무문관 개요

언제 : 322()~ 327(), 56

어디서 : 실상사 휴휴당 (템플스테이 전용관)

참가 : 작은학교 5학년 학생 3(은서, 수민, 신욱, 제제)

지도 : 지도법사

무엇을 : 예불, 100대 서원 절명상, 좌선명상, 차명상, 책 읽기, 글쓰기, 사경 명상, 걷기 명상.

주요 약속 : 고요한 침묵과 깊은 사색으로 나를 바라보기.

 

3-4. 주제 집중 공부기간 623()28()

월요일 방과후 인턴쉽 및 주제집중 공부 논의 준비/4학년과 함께할 수 있는 시간 모색..

3, 4, 5월 읽을 책 정하기

특강, 탐방 계획, 집중 공부 책 읽고 나누기.

※ 5학년 한해 흐름

월별
주요일정
미래시민교육 관련
활동
비고
선배들은 어떻게 살고 있지? 내가 찾아가고 싶은 선배를 만나 인터뷰 해보기
5.18 기념일, 부처님 오신 날, 모내기
인턴십 플러스 준비
인턴십플러스
10월
미래시민 프로젝트 발표회 자료집 정리
11월
연음제(연극음악제)
12월
학기 마무리, 방학
배움 정리하기
1월
자서전 발표, 졸업
합숙 자서전 마무리, 발표, 졸업식 준비

[전북특별자치도 교육청 등록 대안교육기관]

학교 안내

Copyright © 실상사작은학교  All rights reserved.

카카오톡 채널 상담하기
자세히 보기
하루동안 열지않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