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3월 말이었나보다. 당시에 서울 종로에 있던서울 사무처에 갓 출근하기 시작했던 나는 실상사에 처음으로 오게 되었다. 큰 산들을 양 옆에 낀 고속도로와구불구불한 오르막길들을 지나고천을 따라 있는역시 구불한 2차로를 따라실상사에 처음 도착했다. 실상사 연꽃연못이그때는 밭이었다. 그날, 젊은 여성이 그 밭에 감자를 심고 있었다. 오래된 작은절 실상사천왕문 앞에 감자밭그리고 우리 일행을 보며 손 흔들어 주던그 여성의 환한 미소에봄 햇살이 환하게 가득했다.아름답고, 충만한 장면이었다.보슬보슬한 흙과화장기없이 까맣게 탄 얼굴과소박하고 편안한 옷 차림의 사람들. 출장으로 실상사에 오는 것이멀게 느껴지지 않았다.불교귀농학교 현장실습인드라망 가족 캠프회의업무 등으로도 오고귀농전문학교에서 하는자연의학강좌도 듣고휴가때도 실상사에 와서머물며 농장 일도 했었다. 실상사에서 어느날보광전에서 어느 스님의 절하시는 뒷모습이참 지극하게 느껴졌었다. 바닥에 참으로 지극하게 몸을 낮추어납작해 지시는 몸짓이 그렇게 느껴졌다.나도 절을 할 땐 그렇게 바싹 바닥에나의 몸을 낮추고 싶어졌다. 20대 후반, 인드라망생명공동체실상사, 도법스님, 귀농운동, 불교를 만나면서나의 세상은 새롭고 생생해졌다.몸에 맞는 옷을 입은 것처럼 편안해 졌다. 흙을 만지며 산다는 것.자립적 가치손을 쓰며 사는 삶해를 덜 끼치며 살수 있는대안문화. 같이 기도하고 공부하고좋은 책을 함께 읽고좋은 생각을 나누는 공동체. 함께 행동하고실천할 수 있는 공동체. 그렇게 지내던 어느날늘 동경하던 실상사작은학교 배움지기로지원하게 되었다. 청소년들과 함께 산다는 것인지는 잘 몰랐지만실상사작은학교에서 하는 모든 것이다 의미 있고, 재미있어 보였다. 그렇게 16년째실상사작은학교 배움의 공동체에서청소년들과 배움지기들과 함께 살고 있다. 실상사작은학교는나의 배움터이기도 하다. 학생들이 공부하는 것을 같이 배우기도 하고나는 교과를 가르치거나길잡이로 안내를 하면서공부를 하기도 한다. 학교 공동체를 같이 가꾸고함께 살면서 사는 것을 배우기도 한다. 어렸을 때꽤 괜찮은 사람이 되고 싶었다.그건 착한 사람이기도 했고지혜로운 사람이기도 했던 거 같다. 여전히 꿈꾸는 사람은 착하고지혜로운 사람이 되는 것이다.
제제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2012.6월 인드라망 생명공동체 식구됨 2022.6월~ 작은학교 근무 학교 대표입니다(2024~2026) 환갑을 앞둔 나이에 아이들과 살고 있는게 재미가 있어요.편하게 사는것보다 아이들에게 혼나면서 배우는게 더 멋진 삶인 것 같아요. 늘 머물지 않고 흘러가는 지금 이대로 삶이 좋습니다. 좀 더 소개새벽에 아이들하고 논에 나가 피사리를 하고 한낮에 푹푹찌는 더위를 피할데도 없이 선풍기 하나에 의지해 아이들과 같이 살아야 하는 나를 봅니다. 농장에서 농사를 지을때도 일찍 깨어 아침을 기다리지은 않았지만 학교에서 아이들과 살다보니 나도 똑 같은 사람이란걸 늘 깨닫습니다. 아침에 조금만 더 늦잠자고 싶고, 쉬는시간에 좀 더 게으름 피우다 가고 싶고, 맛있는 간식 나오면 한 개 더 먹고 싶어 집니다. 그런 저를 늘 보고 삽니다. 밖에서는 말을 그럴싸 하게 하면 내가 뭐라도 되는 양 우쭐거리기도 하고 별 생각없이 나를 드러내지 않아도 되는 삶이었는데 작은학교에 오니 절로 다 드러나요. 숨기고 싶어도 숨을 곳도 없고 일상에서 절로 벌거벗은 나를 만납니다. 때론 부족한 나를 보며 부끄럽고 때론 못난 나를 보며 창피하고 때론 어색함에 얼굴이 빨개지기도 합니다. 그런곳이 작은학교 같아요. 같이 사니 같은 사람이 되는 곳… 그래서 조금 괜찮은 내가 되어 보려고 늘 애를 씁니다. 그런 사람이 되든 안되든 내가 좋아하고 사랑하는 아이들에게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자 아이들에게 뭐라고 하기전에 저를 돌아봅니다. 그 정도가 저인 것 같아요. 거창하게 대표라는 직함을 걸고 있지만 아이들앞에서는 늘 쥐구멍을 찾고 싶은 사람, 그래도 나서야 되니 나서는 사람, 내가 나서면 누구는 조금이라도 편하겠거니 하면서 삽니다. 관심분야는 정원(마당)관리, 농사, 남이 하기 어려운일 해보기, 오지랖부리기, 잘하지는 못해도 뭐든지 주어지는 일 해보기입니다.